티스토리 뷰
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목돈마련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이며 만기 5년(60개월) 동안 월 70만 원한도내 자유납입 시 최대 6%의 정부기여금과 함께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으로 최대 5,000만 원까지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 매달초에 신청받고 있는 청년도약계좌에 당첨되신 분들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최대 800만 원의 지원금을 꼭 받으시길 바라며 지원대상, 지원내용, 신청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

 

지원대상

 

 

 

● 만 19세~34세 청년이면 가능합니다.

 

 ※병역이행기간(최대 6년)은 연령 계산 시 포함되지 않습니다.

   ※가입제한 - 직전 3개년도중 1회 이상 금융소득((이자소득+배당소득) 합이 2.000만 원 초과인 경우

 

● 개인소득 6000만원이하는 정부기여금 지급과 함께 비과세 적용 대상입니다.

 

● 개인소득 6000만원~7500만원까지는 정부기여금 지급은 안 되고 비과세만 적용됩니다.

 

●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에 해당합니다.

 

청년들

지원내용

 

 

 

만19세~34세 청년이 월 최대 70만 원씩 납입하는 경우 가입기간 5년(60개월)이며 자유적립 적금방식으로 이율은 최대 6%입니다.

 

 

 

납입한 금액과 소득 수준에 비례해 정부가 월 최대 2만 4000원의 기여금을 지급하며 1년에 최대 288,000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고 계좌에 붙는 이자소득에도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.

 

 

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구조(납입한도 월 70만 원)

개인소득기준 지급한도 매칭비율 정부기여금(月) 한도
총급여 2,400만원이하 40만원 6.0% 2.4만원
총급여 3,600만원이하 50만원 4.6% 2.3만원
총급여 4,800만원이하 60만원 3.7% 2.2만원
총급여 6,000만원이하 70만원 3.0% 2.1만원
총급여 7,500만원이하 - - -

 

 

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 11곳 모두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를 합한 최종 금리를 6%로 확정했습니다.

 

각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금리비교입니다.

 

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(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)

은행명 기본금리(3년고정) 소득 우대금리 은행별우대금리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
농    협 4.5% 0.5% 1.0% -0.9%
신    한 4.5% 0.5% 1.0% -1.0%
우   리 4.5% 0.5% 1.0% -1.0%
하   나 4.5% 0.5% 1.0% -1.0%
기   업 4.5% 0.5% 1.0% -0.6%
국   민 4.5% 0.5% 1.0% -1.25%
대   구 4.0% 0.5% 1.5% -1.0%
부   산 4.0% 0.5% 1.5% -1.0%
광   주 3.8% 0.5% 1.7% -1.2%
전   북 3.8% 0.5% 1.7% -1.3%
경   남 4.0% 0.5% 1.5% 1.2%
S   C   24년출시예정    

 

신청방법

 

 

● 3월 2일부터~12일까지 서민금융콜센터 1397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
 

● 11개 은행앱에 있는 스마트뱅킹 또는 영업점에 방문하시어 신청가능 합니다.

    (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국민, 대구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, SC)

 

●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 11곳 모두 기본금리와 우대금리 합한 최종금리를 6.0%로 확정

 

 

청년도약계좌는 취급은행을 통틀어 1명당 1 계좌만 가입이 가능하므로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여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가입이 불가능하니 잘 알아보시고 목돈마련의 기회를 꼭 잡으시길 바랍니다.